https://training.linuxfoundation.org/certification-catalog/
CKA 자격증 시험 비용 395 USD / 합격 점수 기준 66점 / 시험시간 – 120분
CKA 자격 시험은 100% 실습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자격증 취득 목적뿐만 아니라
쿠버네티스 기초 공부를 하기에도 좋은 시험입니다.
개인적으로는 시간을 여유롭게 가지고 준비했으나 단기간에 취득해야하는 경우에는 공부 범위가 넓은 만큼 조금 더 전략적으로 공부하고 시험에 대비해야할 것 같습니다.
Aafter April 1st, 2024, the CKA exam will only be valid for 24 months instead of 36 months - 올해 4월 1일이후로 응시하는 경우 자격증 유효기간이 3년에서 2년으로 변경 됩니다.
#1 CKA 준비
1) 접수 하기
https://training.linuxfoundation.org/certification/certified-kubernetes-administrator-cka/
리눅스 파운데이션 홈페이지에서 신청하면 PSI 시험 센터 링크로도 연계되어 바로 시험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. PSI (원격 시험 플랫폼)
가격은 395 USD, 원화로 50만원 정도의 가격으로 꽤 비싼편입니다.
회사에서 제공받은 바우처로 등록해서 부담을 덜 수 있었지만, 사비로 진행이 필요하다면 11월말의 Cyber Monday 혹은 정기적으로 할인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 다행히CKA 시험은 Fail 시 재 시험 기회가 주어진다고 합니다.
2) 준비 과정
쿠버네티스는 이전에 2년전쯤 기본 개념 강의는 수강한적이 있으나 따로 실무에 사용한 적은 없어 기본 명령어나 개념들은 거의 다 까먹은 상태였습니다. 자격증 취득 노베이스 상태로 가정을 하고 다시 제대로 공부하기로 하였습니다.
1 - Udemy 강의
Mumshad Mannambeth CKA 후기에 필수로 등장하는 강의 입니다.
동영상 총 시간은 약 24시간 정도로 KodeKloud Training 이라는 플랫폼에서 실습할 수 있는 환경이 강의에 포함되어있습니다.
Udemy 에선 상시로 할인 이벤트를 하고있어서 정가보다 훨씬 저렴한 금액에 강의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.
저는 19,000 원에 구매했습니다.
강의 수가 많아 좀 지루할 수 도 있습니다. 개인적으로 2-3번 들으면서 개념 이해에 중점을 두었습니다.
Lab test 나 mock 은 모르는 부분 없이 바로바로 풀릴때까지 계속 돌렸습니다. 시간이 부족하다면 전체강의1번은 꼼꼼히 듣고 모르는 부분만 다시 듣고 Lab test 에 집중해도 될 것 같습니다.
2 - Youtube 강의
Youtube 따배쿠 강의도 꽤 유명합니다. 전체 강의는 멤버쉽으로 결제해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월 6,990 원 정도로 구독해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.
강사님께서 한글로 설명을 자세하게 해 주시고 강의도 알찬 느낌이라 유데미 강의 듣고 수강하시면 깔끔하게 정리하는데 도움이 됩니다.
3 - Killer 시험 세트
CKA 시험 접수 후 해당 링크로 들어가면 고난이도 시험문제로 구성된 시험세트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.
같은 문제로 구성된 세트가 2개 있고 활성화하면 한 세트 당 36시간정도 문제나 풀이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
시험 환경과 거의 동일하여 미리 익숙해지는데 도움이 되고 문제는 실제 시험보다 훨씬 어렵게 출제가 된다고 합니다.
하지만 꼭 문제를 다 풀어보고 풀이도 확인하고 가는것을 추천 드립니다. 체감상 시험 문제 난이도는 킬러보단 쉬웠으나 유데미 mock test 보단 어려웠던 것 같습니다. 실제 시험문제에서 킬러문제와 같이 긴 문제나 다중 문제도 나와 킬러문제를 풀어보지 않고 갔다면 꽤나 당황했을 것 같습니다.
#2 CKA 시험 응시하기
1) 시험 준비
PSI 시험 플랫폼자체가 생각보다 까다롭습니다. 다른 자격증 시험 때 예상치 못한 문제로 시험 응시 전 기술지원센터에 연락한 뒤 바우처를 다시 받고 진행했던 적이 있어서 시험환경에 대한 준비도 여러번 확인하였습니다.
1- 백그라운드 프로그램
System Check Requirement 같은 경우에는 시험 접수 페이지에서 바로 할 수 있으나 시험 당일에 PSI 환경에서 자체적으로 구동되는 Security Check 는 미리 확인할 수 있는 곳이 없었습니다. 다행히 시험 rescheduling 페이지 자체에서 3번까지 시도할 수 있는 링크를 찾을 수 있어 미리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 근무용 랩탑을 사용하게 되면서 특정 프로그램을 아예 종료하려면 관리자 권한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 (EX/ Zoom Sharing Service)
2 - 시험장소
일반적으로 집에서 혹은 스터디룸을 빌려 시험에 응시합니다. 스터디룸 같은 경우에는 네면의 벽이 투명하지 않고 프라이빗한 장소를 넉넉한 시간으로(시험 준비시간 포함) 예약하시길 바랍니다.
저는 집에서 책상위의 물건들을 다 정리 한 뒤 시험에 응시하였습니다. 듀얼 모니터용 큰 모니터는 다른곳에 두었는데 연결만 안되어있으면 모니터를 뒤로 향하게 두면 크게 상관없을 것 같습니다.
3 -시험준비물
시험 감독관이 영어로 보통 진행을 하기때문에 영어로 된 신분 증명서가 필요합니다.
기간이 남아있는 여권으로 하는게 제일 안전한 방법입니다. 라벨이 전부 제거된 투명한 물병도 허용됩니다.
노트북으로 진행을해서 거치대도 함께 사용했습니다. PSI 프로그램이 구동되자마자 갑자기 느려지면서 발열/쿨링팬 작동이 심해져 거치대가 없었으면 좀 더 느려졌을 것 같습니다.
2) CKA 시험
시험 시간이 되면(30분 전) Take Exam 클릭창이 활성화 됩니다.
Read Now 의 자료들은 한번 쯤 읽어보고 들어가시고 상단의 Exam Simulator 링크로 가면 killer 문제를 풀 수 있는 사이트로 이동 할 수 있습니다.
시간은 총 120분중에 모르는것 혹은 풀다가 애매한것들은 flag 처리하고 쉬운것 부터 풀려고 했습니다. Flag 제외 약 60분정도 남아서 여유로운 상태에서 어려운 것들에 편안한 마음으로 집중 할 수 있었습니다.
마지막에 풀었던 문제들을 보면서 마무리하고 잠깐 기다리면 1분간의 Survey 창이 뜨는데 그것까지 완료하면 시험을 완전히 종료할 수 있습니다.
3) 시험 결과
시험 결과는 시험 신청 시작 시간 기준으로 다음날 정확히 1시간 5분뒤에 메일 전송 받았습니다.
(예시/ 23시 30분 신청 -> 다음날 23시 35분 결과 확인)
시험 점수는 예상치 못한 실수가 있으면 아슬아슬 할 수 있겠다고 생각이 들었는데 다행히 충분한 점수로 패스 하였습니다.
#3 시험 TIP
1) 기출문제
총 17개의 문제가 나왔습니다. 당일에 어떤 문제가 나왔는지 기억나는대로 전부 적어보았는데 순서는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.
개인적으로 헷갈리거나 어려워서 두 세번 확인한 문제는 플래그 처리 하였습니다(*)
1. PVC 생성, Pod 생성 후 PVC 연결, PVC Patch 수정 with record*
2. ETCD 백업 / Restore*
3. Deploy Scale
4. Top pod 명령어 grep 으로 error 코드 확인
5. Node not ready 트러블슈팅 – systemctl restart kubelet (sudo)
6. Ingress 80 port /hi path 지정 *
7. Networkpolicy ingress 로 네임스페이스 레이블 *
8. PV 생성
9. Service account/Clusterrole/Clusterrolebinding 생성 , Pod Service account 추가
10. MasterNode 의 모든 자원 Upgrade
11. Node number without Taint > 파일로 echo 해서 찍어내기
12. Multi container
13. Sidecar 추가하기*
14. Kubectl logs
15. Nodeselector
16. Port expose Service/ Service Nopeport
17. Node Drain 하기
시험 응시 후 헷갈렸던 기출문제들 중 몇개는 구글링 해보니 examtopic 사이트에서 바로 찾을 수 있었습니다. 문제풀이나 답은 공식적으로 제공된것은 없지만 discussion 의 답변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. 해당 사이트는 덤프 기출문제 사이트로 유료로 이용할 수 있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. 혹은 시중에 덤프를 구할 수 있다면 이를 참고하는것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. 하지만 실습형 시험이다보니 만약 덤프로만 공부하시게 된다면 위험할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보는것을 추천드립니다.
2) 취약점 파악
연습문제들로 공부하면서 본인이 무의식적으로 계속 틀리는 부분이나 재확인이 필요한 부분은 미리 파악한 후 시험에 응시한다면 예상치 못한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.
예시)
Namespace확인하기
명령어 출력인지 명령어의 결과값 출력인지 잘 확인하기
생성 후 리소스 잘 작동되는지 확인하기
환경 구성 복붙으로 잘 확인하기
오래 걸리는 것 혹은 자신 없는 부분 플래그 후 마지막에 하기 (업그레이드 작업)
3) 그 외
작년 업데이트 이후 북마크 사용이 불가능합니다. https://kubernetes.io/ 공식 홈페이지에서 필요한 카테고리를 검색해 찾는것에 익숙해질수록 좋습니다.
시험 취득에 있어서 멘탈관리도 굉장히 중요하기때문에 시험 환경 준비와 시험 중 시간 분배를 잘 하시길 바랍니다.
헷갈리는 것 중에서도 다시 풀었을때 부분점수를 더 잘 얻을 수 있는것들 우선해서 해결하시고 config 변경은 문제마다 복사 붙여놓기로 하나하나 설정하더라도 cluster 이동간 혹은 문제 풀이과정에서 헷갈릴 수 있기에 시험 도중에도 꼭 잘 확인 하시길 바랍니다.
다들 준비 잘 하셔서 원하는 기간에 합격할 수 있길 기원합니다!
'Certificate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자격증 Solutions Architect Professional (SAP-C01) 취득 후기 (2) | 2022.09.07 |
---|---|
AWS 자격증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(CLF-C01) 취득 후기 (0) | 2022.09.04 |
AWS 자격증 준비 방법 (CCP,SAA,SAP) (5) | 2022.08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