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KS (2) 썸네일형 리스트형 쿠버네티스 따배씨 강의 https://youtu.be/KdATmTulf7s?si=V7tN7jU5KxUvaRcE ** 강의 내용의 목차를 중심으로 공식 docs 와 참고 명령어 정리 1. ETCD 원하는 노드로 우선 이동 #whoami #sudo -i ETCDCTL_API=3 etcdctl --endpoints=https://127.0.0.1:2379 \ --cacert= --cert= --key= \ snapshot save #sudo ETCDCTL_API Restore ETCDCTL_API=3 etcdctl --data-dir /var/lib/etcd-new snapshot restore snapshot.db #sudo vi /etc/kubernetes/manifest/etcd.yaml hostpath 변경 -> var/li.. 쿠버네티스 101 Worker 내부 기본적으로 Docker 컨테이너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지만 쿠버네티스의 Container Runtime Interface (CLI) 를 통해 다양한 인터페이스 호환이 가능함 Master Node - ETCD Cluster (1) / kube-apiserver (2) / kube-controller Manager (3) / kube-scheduler (4) Workder Node - kubelet (5) / kube-proxy (6) ▶ ETCD Cluster (1) key-value store 형식으로 독자적인 형태로 다양한 데이터 보관 :2379 \\ ETCD 를 직접 구성하기 VS Kubeadm 으로 구성하기 ▶ kube-apiserver (2) 가장 먼저 명령어를 관할 하는 부분 ca.. 이전 1 다음